산기슭을 따라 작은 집들과 좁은 골목으로 이루어진 부산의 감천문화마을은 본래 저소득층이 밀집된 낙후된 지역, 즉 달동네였다고 한다. 현재는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 부산의 관광명소가 되었지만, 불과 몇 년전만 해도 감천동에 위치한 이 작은 마을을 찾는 방문객은 그리 많지 않았다는 뜻이다.
다닥다닥, 옹기종기
부산 감천문화마을
1950년대 6·25 피난민들이 이곳, 감천문화마을에 정착하게 되었고, 터전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한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감천문화마을은 본래 낙후된 지역이었으나 환경정비 및 벽화 사업이 이루어지며 현재의 모습을 갖췄고, 부산을 대표하는 명소 중 한군데가 되었다.
감천마을 곳곳에는 공예 공방이나 갤러리가 들어와 예술촌을 형성하고 있으며, 마을 공터에는 공원이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이렇게 아름다운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감천문화마을에는 매년 2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다고 한다. '부산의 마추픽추'라고도 불리는 감천문화마을은 네모난 블록을 쌓아놓은 것 같다하여 '레고마을'이라 불리기도 한다.
감천문화마을 길가를 거닐다보면 멋진 벽화나 조형물을 심심찮게 만나볼 수 있다. 마을 곳곳에 숨어있는 예술을 찾는 재미도 쏠쏠하다.
마을 입구의 안내센터에서는 스탬프투어를 할 수 있는 지도도 팔고 있는데, 지도를 보며 감천문화마을을 상징할 수 있는 장소를 구경하고 스탬프를 찍는 재미도 있다.
예쁜 카페와 식당 등 즐길거리도 풍성하며, 특히 옛 목욕탕을 테마로한 감내어울터와 작은 박물관 등 이색공간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마을의 전경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는 어린왕자와 사막여우 모형은 감천문화마을의 유명한 포토존이다. 어린왕자의 옆에 잠깐 앉아 마을의 모습을 눈에 담으며 사진을 남기고 간다.
마을 자체의 관람은 24시간 언제든 가능하지만, 감천문화마을에서 운영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09:00 ~ 18:00(동계기간에는 17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단, 실제 주민들이 거주하는 곳이기 때문에 정숙하게 관람하고, 시설을 깨끗하게 이용해야 한다.
밤이 내린 감천문화마을의 모습도 아름답다고 한다. 마을 내에 민박, 게스트하우스 등 숙소도 있다고 하니 기회가 된다면 하루 숙박하며 감천문화마을의 야경을 느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감천문화마을>
소재지 : 부산 사하구 감내2로 203
'한국 > 부산·경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진주 남강 유등축제 :: 불빛이 수놓는 화려한 가을밤 (1) | 2018.10.02 |
---|---|
울산 간절곶 맛집 :: 수제버거와 핑크빛 바다전망 '집앞로맨스' (0) | 2018.07.15 |
(대구)아양기찻길에서 시원한 강바람 맞으며 야경 감상하기 (2) | 2018.05.01 |
(부산)이국적인 풍경에 반하다, 기장 죽성드림성당 (0) | 2018.04.28 |
(부산)황혼과 불빛 속의 산책, 다대포해수욕장 고우니 생태길 (0) | 2018.04.19 |